기후동행카드와 K-패스 도입은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직장인이나 청년들에게 교통비 절감 혜택이 예상된다. 독일의 49유로 D-Ticket이나 영국의 BritRail Pass, 프랑스의 Navigo Decouverte가 있어 대중교통을 일정액으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에서 내년부터 도입 준비 중인 기후동행카드와 국토교통부에서 준비 중인 K-패스가 이와 비슷하다.
이미 지자체별로 저소득층이나 청년들에게 교통비를 현금과 지역화폐로 지원해 주는 제도가 있으나 교통비 지원을 받으려면 따로 신청을 해야 하며 일정 수준 이하의 저소득층 인증 절차가 필요한 제도인 반면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는 별도로 신청할 필요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어 관심이 높다.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에 대해 자세히 비교하며 알아보자
기후 동행카드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가 2024년 부터 도입할 예정인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 이용 카드이다.
한 달에 6만 5천원의 정기권을 구매하면 서울시의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와 따릉이까지 무제한으로 이용할수 있다. 기후동행카드 도입은 기후 위기에 대응하며 동시에 대중교통의 이용을 촉진과 가계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 있다. 3천 원의 실물카드를 구입한 후 매월 충전해서 사용하거나 스마트폰 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내년 1월에서 5월에 시범적으로 운영되며 하반기에 본격 시행 예정이다.
시범운영기간에는 만 명의 대상자를 선정해 무료제공한다고 하니 놓치지 말고 혜택을 받아 가세요.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 주민을 위한 카드로 수도권 주민이 이용할 때는 반쪽카드라는 말이 있다. 서울이 아닌 수도권에서 승차하였을 때는 해당이 없고, 서울시내에서 승차하여 수도권에서 하차하는 경우에는 해당된다.
실질적으로 서울시내에서만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에는 그다지 별 혜택이 안 되는 경우도 있으니 자신의 월 대중교통 이용요금을 따져보고 이용하면 된다.
K패스
K-패스는 지하철과 버스등 대중교통을 월 21회 이상 이용할 경우에 요금의 20%를 다음 달에 적립 환급해 주는 통합권으로 2024년 7월 부터 도입예정이다.
현금으로 지원하는 지자체의 청년과 저소득층의 교통비지원과 비교하여 보면 K-패스는 대중교통비 인상 시에 실질적인 혜택이 있다.
'사회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청년 복지 포인트 년 120만원 신청 자격 방법 (0) | 2023.10.31 |
---|---|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출범 2026년 7월 (0) | 2023.09.26 |
차상위계층 조건 혜택 신청 방법 (0) | 2023.09.12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기간 자격조건 신청방법 (0) | 2023.09.06 |
다자녀 혜택 기준 2자녀부터 (1) | 2023.09.04 |